반응형

 

속도 조절의 키 포인트는 FALL LINE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내려오다 보면 (dawn heel) 속력이 붙게 되는데 이때 턴을 함으로써 속력을 줄일 수 있다 아래 그림은 A지점에서는 가속을 하게되고 D에서는 속력을 줄여준다.

 
 

보드를 타고 활강하는 동안 몸무게를 TOE EDGE나 HEEL EDGE로 자유자재로 이동시키면서 턴을 하는 것을 중급 턴이라 할 수 있다.

중급턴의 목적은..

1) 턴과 턴의 사이의 걸리는 시간을 단축 시키고 
2) 턴을 조금더 리드믹 하게 만들고자 하고 
3) 턴의 크기를 숏턴이라고 불리는 정도까지 짧게 만들고 
4) 카빙턴을 하기위한 전초 훈련이라 할 수 있다.

 

1) 활강을 시작한다
2) 자세를 낮추기 시작한다
3) FALL LINE 을 지나면서 무게중심을 반대로 이동 시켜서
---TOE TURN ---> HEEL TURN
---HEEL TURN ---> TOE TURN
4)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는 지점에서는 몸을 특히 보드가 설면에서 뜨는 듯 한 느낌이 오도록 강약을 조절한다

 

1) 활강을 시작한다
2) 자세를 낮추기 시작한다
3) 자세가 충분히 낮추어지면 구부린 무릎을 펴기 시작한다
4) 무릎을 힘차게 스냅을 주듯이 밀면서 살짝 일어나기 시작
5) 일어나면서 무게중심을 반대로 이동 시킨다
6) 고개를 돌려 갈 방향을 본다

 
 1) 가고자하는 방향으로 시선을 돌린다 (시선을 돌리는 데로 고개가 따라가면서 몸도 따라간다)
 

2) 무릎과 뒷 손을 턴하는 쪽으로 몰고 간다
3) 턴을 하는 동안 상체를 바로 세운다
이때 등을 바로 세우고 양 미간에서 배꼽까지 일직선이 되도록 몸을 바로세운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그리고 손과 어깨는 몸 앞에서 슬로프와 수평을 유지 하도록 한다
4) 턴에 들어갈 때 앞으로 달려 들어가면서 자세를 낮추어 준다.
5) 턴에서 빠져 나올때는 적극적으로 몸을 던지듯이 뛰어들면서 빠르게 일어난다
6) 다음으로 가고자 할 방향을 쳐다보고 다음 턴을 시작한다
.

 
 

1) 잘 다져진 부드러운 눈에서 중간정도 혹은 큰 사이즈의 원을 그리기 위해 빠른 속력으로 스타트.

 

2) 턴이 시작되면 그내를 타고 내려오듯 무릎과 가슴을 모은다. 이 상태로 자세를 최대한 낮춘다.
3) 턴을 하는 동안 턴의 안쪽 손은 쭉 뻗어준다.
4) 보드를 세워서 보드의 엦지로만 갈 수 있도록한다 이때 몸도 쭉 펴준다.
5) 보드가 눈을 밀고 나가지 못하도록 원심력, 보드의 각도, 몸의 각도를 계속 유지해야한다.

 
 

모글타기는 모글과 모글 사이의 골 안에서 턴을 하거나 모글의 정상에서 턴을 하는 방법이 있다 모글을 처음 연습 할 때는 크기가 작고 완만하게 경사진 곳에서부터 연습을 해야한다
그림
모글을 탈때는 뒷 손을 앞으로 당겨주고 머리는 일정하게 수평으로 일직선이 되게하고 다리는 큰 스프링이 된 것 처럼 상하 운동을 반복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FRONTSIDE와 BACKSIDE의 구별
 올리는 에어(AIR)를 하기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중요한 기술이다
 

출처 : 스노우보드 코리아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cocy

조금은 가볍게! 시작은 새롭게!

,
반응형

 

스노우보드는 다른 스포츠보다 근육에 순간적인 충격을 주는 강도가 다른 스포츠에 비해 훨씬 더하기 때문에 라이딩을 하기전 온몸의 근육을 스트레칭을 통해서 충분히 이완시켜 놓아야 한다.

 
 

1. 목돌리기 : 목의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 전후좌후 오른쪽 왼쪽으로 돌리기 
2. 상체 비틀기 : 양손을 펴서 상체를 오른쪽 왼쪽으로 4~5회 비틀어 준다. 
3. 양발벌리고 상체구부려 손바닥 땅에 닿기 : 이 자세를 할 때는 천천히 4~5회 반복
4. 양발벌리고 상체구부려 발등 손바닥으로 누르기 : 양 발을 어깨넓이로 벌리고 상체를 구부려 오른쪽 왼쪽의 발등을 번갈아 가면서 두 손으로 4~5회 짚기 반복 
5. 손목 돌리기 : 손목 돌리기를 4~5회 반복한다. 
6. 앉아서 몸비틀기 : 그림 7 한쪽발 들어서 허벅지 근육펴기

 
Type AType B
 

보드 위에서 일어날때는 힐 엣지를 사용해서 일어나는 것이 토우(toe)엣지를 이용해서 일어나는 것보다 덜 힘이들며 뒷 손을 뻗어 토우엣지의 앞쪽발을 잡아준다 그리고는 힘껏 잡아당기며 엉덩이를 들면서 발을편다.

 몸을 누이면서 바꾸고자 하는 방향으로 몸을 먼저 돌리고 발을 따라서 돌린다.
 
 

1. 먼저 바인딩을 채우지 않은 발을 앞으로 내 딪는다.
2. 바인딩이 채워진 발을 들어서 앞발의 뒷꿈치에 가까이 붙인다.

 
 우선 스케이팅을 하기전에 알아야 할 것이 있다.
 

1.무게중심 : 우리몸의 무게중심은 단전 (배꼽에서 약 10cm 정도아래)에 있다 라이딩을 할 때 무게중심을 뒤로 이동시키면 보드의 앞쪽이 가벼워지고 무게중심을 앞으로 이동시키면 보드의 뒤쪽이 가벼워 회전을 쉽게 할 수 있다 회전을 무게중심을 전후좌후로 이동시킴으로써 방향을 바꾸는 것이라 할 수있다.

2.스케이팅하기 : 앞의 발은 바인딩을 채우고 뒤엣 발로 설면을 밀면서 앞의 발을 살짝 구부렸다 펴주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이것을 2내지3회 반복하며 가속이 붙도록 한다.

3.보드가 가속을 받아서 앞으로 진행을 하면 뒷발을 뒤쪽 바인딩 앞에 내려놓고 자세를 바로한 상태에서 보드위에 몸을 싫고 흘러간다.

 
 
 사이드 슬리핑은 밸런스 감각과 엣지 콘트롤을 향상 시켜준다.
 
1.HEEL SIDE SIDESLIPPING

무릎을 약간 구부린 상태에서 발목을 아래위로 움직이면서 힐 엣지를 사용하여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데 이때 토우 엣지가 눈에 걸려 앞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토우 엣지를 설면에서 항상 약간씩 띄어 준다. 

2.TOE SIDE SIDESLIPPING

발 뒷꿈치를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면서 슬로프를 천천히 미끄러져 내려온다 이때 발 뒸꿈치가 설면에 완전히 닿지 않도록 조심한다. 뒷꿈치가 완전히 설면에 닿은상태로 흘러 내려오면 눈이 블록을 형성하게되어 몸이 뒤로 날아가는 경우가 생기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이번에는 슬로프를 또바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이 아니고 언덕을 가로지르며 지그재그로 내려온다. 이는 다른 용어로 FALLING LEAF라고도 한다.트래버싱은 엣지의 양쪽을 사용하는데 토우사이드 엣지만을 사용해서 내려오거나 힐사이드 엣지만을 사용해서 내려온다.

 
 

1. 가고자하는 방향으로 머리를 돌려 쳐다본다
2. 진행하는 앞쪽 발에 무게중심과 하중을 이동시킨다. (앞발에 몸무게의 80%정도)
3. 뒷발을 움직이지 않고 앞발을 따라서 가도록 힘을 뺀다.
4. 이때의 몸의자세는 양손을 살짝 들고 앞손은 보드의 NOSE에 올려놓은 것처럼 하고 뒷 손은 바인딩사이의 엣지를 잡은 듯 한 자세를 취한다.
5. 트래버싱을 할 때 가장중요한 것은 언덕을 사선으로 지나감에 있어 지나간 자국은 엣지 자국이 아니라 바닥 전체가 밀고 나간 자국이 남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제 당신이 양쪽 엣지를 사용해서 트래버싱을 할 수 있다면 갈란드 턴을 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갈란드는 턴을 반 만 연습하는 것이다.

 
 

1. 보드가FALL LINE 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도록 아래를 향하게 한다.
2. 가속도가 붙으면 턴을 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고개를 돌린다.
3. 고개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서 앞발에 몸무게를 실어준다.
4. 어깨와 몸을 시계방향으로 비틀고 무릎을 약간 구부리면서 발꾸락을 오무려 준다 이때 발목이 비틀리는 느낌이 와야한다.
5. 방향이 바뀌기 시작할 때 뒷꿈치를 살짝 들어주면 쉽게 돌아간다.
6. 방향이 바뀌면 다시 무릎을 펴고 고개를 FALL LINE을 향해 돌려준다.
7. 이것을 토우 엣지와 힐 엣지를 각각 사용해서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오도록 각각 반복한다.
8. HEEL TURN은 몸을 비틀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한다.
9. HEEL TURN은 뒷꿈치 대신 부츠 안에서 발가락을 들어준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cocy

조금은 가볍게! 시작은 새롭게!

,
반응형

[스탠스 & 밸런스]

어떻게 바디 밸런스를 유지하느냐가 이 스킬의 키 포인트입니다.
어떤 보더들은 보드의 센터에 몸의 중심을 유지하는것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보더가 자신의 몸의 밸런스를 잘 인식하게되면, 밸런스를 움직여가며 다양한 트릭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매 턴마다 점프를 하거나 스위치라이딩을 연습하여 이 스킬을 향상시킬수가 있습니다.

처음 시작하려할때 보더는 자신에게 맞는 스탠스를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왼발이 앞으로 가는 "레귤러" 와 오른발이 앞으로 가는 "구피", 이렇게 두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라이더가 실력이 향상되면 "스위치" 라이딩에 대해서 접하게 됩니다.
"스위치" 라이딩은 자신이 배웠던 스탠스와 반대로 라이딩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레귤러 라이더는 구피로 스위치하며 구피 라이더는 레귤러로 스위치 합니다.
스위치 라이딩은 대개 터레인 파크에서 스핀을 위한 준비과 착지(랜딩)에서 사용됩니다.

스탠스 넓이는 두 바인딩 중심 사이의 거리입니다.
편안하게 라이딩을 하기 위해서는 스탠스의 넓이를 잘 잡아야 합니다.
대게는 전적으로 라이더의 키에 따라 결정을 하지만, 터레인 특성에 따라 쉽게 바꿀수 있습니다.

포워드 스탠스는 비기너와 올마운틴 라이더가 대개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가도는 +20˚/+6˚ 입니다.
덕스탠스는 프리스타일러들이 대개 사용하며, +15˚/-15˚ 로 상반되어있습니다.

 


[정지하기]

보더가 산을 내려가면서 콘트롤을 유지해야하기때문에 비기너가 배워야 할 스킬입니다.
보드를 완전히 멈추는 방법엔 몇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레귤러 라이딩중 보드의 뒷쪽에 무게를 집중시키면서 토 사이드에 힘을 가할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자연스럽게 보드를 오른쪽으로 가도록 할 수 있습니다.
보더가 계속해서 토 사이드에 힘을 가하면 결국 보드는 직각방향으로 움직여 멈추게 됩니다.
보드의 속력을 줄이거나 멈추는 또 다른 방법은 힐 사이드 엣지에 힘을 가하는 것입니다.
이는 이전과 반대로 왼쪽으로 보드를 움직이며, 보드가 내려가는 것과 수직방향으로 
자국을 내며 자연스럽게 속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피벗 & 스티어링]

이 기술은 보드의 턴과 관련이 많습니다.
피벗과 스티어링은 주로 몸의 회전으로 구사합니다.
사람들이 보드를 처음 탈때, 보드를 움직이기 위해선 상체를 사용하라고 배웁니다.
상체를 돌림으로써 보드의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인스트럭터는 라이더가 상체에서 보드로 이어지는 라이더 신체의 로테이션을 느끼도록 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기술을 향상시키는 연습방법으로 폴라인 피벗, 모터보트 엑서사이즈, 스태틱 스티어링 등이 있습니다.

 


[엣징]

스노우보더는 엉덩이와 무릎, 발목을 이용해 엣지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의 핵심은 보드의 엣지로 주행하면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엣지를 이용하여 라이딩함으로써 훨씬 쉽게 스피드를 콘트롤 할 수 있습니다.
보더는 또 엣지 라이딩을 하면서 자신의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배우고난 후,
카빙턴을 구사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기술의 연습방법으로는 일정한 힘을 이용한 엣지 체인지 연습, 레일 투 레일, J 턴 등이 있습니다.

 


[압력 콘트롤]

보드 압력 콘트롤이 좋다면, 보더는 훨씬 더 안정적인 라이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이 기술은 라이더가 울퉁불퉁한 슬로프나 다양한 터레인에 있을때 필수적입니다.
몸을 풀거나 뻗는 것으로, 라이더는 스피드를 콘트롤 하면서 보드에 압력을 더하거나
보드의 압력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실력이 좋은 라이더들은 하체만을 이용해 보드의 압력을 콘트롤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을 위한 연습방법으로는 폴 라인 스탑, 알리, 널리, 그리고 짧은 점프등이 있습니다.

 


[타이밍 & 코디네이션]

이 기술은 퍼포먼스의 리듬 변화에 관한 것입니다.
아 기술에 능하다면, 라이더는 알맞은 타이밍에 라이더의 신체 움직임이 조화를 이루면서
어떠한 턴을 하던지 매우 편안한 상태가 됩니다.
이 기술을 위한 연습방법으로는 탑건턴, 대칭에 초점을 둔 카운팅, 그리고 토네이도 턴이 있습니다.

 


[강습]

많은 스노우보더 비기너들은 보드에 적응하기에는 불만이 많았으며, 이는 스노우보드 강습에 대한
수요을 만들어 내었고, 지금은 대부분의 스키 스쿨에서 스노우보드 강습도 제공합니다.
스노우보드 제작업체들도 처음 보드를 배우는 사람들을 타겟으로 보드를 개발해왔습니다.
비디나 온라인 강습, 더 실력이 좋은 사람의 라이딩을 보는 것, 그리고 비시즌 스케이트보드 트레이닝까지
이러한 테크닉들은 스노우보딩을 향상시키기위해 좋은 것들입니다.
그러나 트레이닝의 핵심은 직접 지속적으로 연습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대부분의 보더들은 안전하고 편안하게 라이딩을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cocy

조금은 가볍게! 시작은 새롭게!

,
반응형

| 데크 각부 명칭

 

데크_각부_명칭.png

▲ 데크 각부 명칭 : 가장 기본적인 부분이므로 명칭을 기억해 두자.

 

① 노즈 (Nose)
: 디렉셔널 보드 기준, 데크의 앞 부분으로서 진행방향을 노즈라 한다. 트윈 팁 보드에서는 노즈와 테일의 사이즈가 동일하기 때문에 그 구분이 없다고 봐도 되겠지만, 주로 타는 방향을 노즈, 그 반대 방향을 테일이라 보면 된다.

 

② 전체길이 (Overall Length)
: 보통 자신의 키보다 짧은 보드를 사용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자신의 키에서 15cm-20cm 정도를 빼주는 것이 적당하다. 다만 국내의 설질은 건설이거나 아이스밴이 많은 강설이므로 이를 생각 한다면 조금 더 줄여주는 것이 좋다. 정확한 자신의 데크 사이즈를 구하고 싶다면 『나에게 맞는 장비 세팅법』 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③ 웨이스트 (Waist)
: 데크 중앙부 폭이 가장 짧은 부분으로 부츠의 크기 및 보드 회전반경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스타일 보드 보다 알파인 보드가 좁으며, 웨이스트 폭이 좁을수록 바인딩과 부츠의 상관관계에 유의해야 한다. 당연하겠지만 폭이 좁을수록 바인딩이나 부츠가 데크 밖으로 돌출하여 라이딩시 불필요한 마찰이 생기게 되며, 그렇다고 폭이 너무 넓으면 엣지에 전달되는 힘의 손실을 유발할 수 있다.

 

④ 인서트홀(Insert Hole)
: 데크와 바인딩을 나사로 연결해주는 구멍으로, 일반적으로 4x2 방식으로 제작되어진다. 이외 4x4, 3D, Slider 방식으로도 제작되어 지는데, 인서트홀 방식에 따라 연결 가능한 바인딩의 종류가 다르므로 데크 구입시 바인딩과의 궁합을 잘 봐야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방식 중 아직까지 3D나 Slider 방식은 특정회사의 제품만 장착이 가능하다.

 

다양한_마운팅_시스템.png

▲ 다양한 마운팅 시스템 : 일반적으로 4x2 방식으로 제작되어진다.

 

⑤ 테일 (Tail)
: 역시 디렉셔널 보드 기준, 데크의 뒷 부분으로서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을 테일이라 한다.

 

⑥ 엣지 (Edge)
: 라이딩의 전환, 속도조절 등 눈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 스테인레스와 같은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금방 녹이 발생할 수 있다. 엣지는 데크를 보호하는 동시에 라이딩시 가장 중요한 눈과의 직접적인 접촉면이다. 대부분의 데크는 엣지를 사방으로 둘러싸서 보드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역할도 하고 있는데, 실제 라이딩시 노즈와 테일 부분의 엣지는 사용하지 않으나 데크의 내구성 측면에서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출처 : http://riderspark.com/rp_bbs/2379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cocy

조금은 가볍게! 시작은 새롭게!

,
반응형

| 스노우보드 기본 장비구성

 

스노우보드_기본_장비구성.png

 ▲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숀 로저 화이트(Shaun Roger White), FlickrⓒAnHonorableGerman, CC BY 2.0

 

① 데크 (Deck)
: 스노우보드의 종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그 수가 훨씬 다양하다. 또한 기술력이 발전하면서 보드 종류에 따른 경계가 애매한 부분도 없지 않아 있지만, 대중적인 관점에서 크게 프리스타일 보드(Free Style Board)와 알파인 보드(Alpine Board)로 구분되어 진다. 사진에서 보이는 데크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스노우보드 하면 떠오르는 프리스타일 보드로서 각자의 개성과 센스를 살려 자유로운 테크닉을 즐기는 스타일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70% 정도가 프리스타일 보드를 이용하는 추세이고 초보자들이 접하기 용이하고 쉽게 재미를 느낄 수 있다.

 

② 바인딩 (Binding)
: 데크와 부츠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장비이다. 바인딩에 있어서도 그 종류가 여러가지가 있으며 프리스타일용 바인딩으로는 전통적인 스트랩 바인딩(Strap Binding)과 토우 캡 스트랩 방식(Toe Cap Strap), 그리고 플로우인 바인딩(Flow-in Binding)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바인딩의 경우 보더가 구사하는 모든 힘을 최소한의 손실로 데크에게 전달해주는 장비인 만큼, 바인딩 선택은 물론이요 데크 세팅에 있어서도 가장 까다로운 장비이다.

 

③ 부츠 (Boots)
: 부츠의 경우 다양한 스노우보드 장비 중 신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이기에 힘의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한 강성과 신체 접촉에 따른 반응성, 이 두가지 속성을 모두 만족하기란 쉽지 않은 부분이다. 더군다나 자신의 족상에 알맞은 부츠를 찾는다는건 직접 신어봄에도 불구하고 아리까리하기까지 하니, 보다 윤택하고 아름다운(?) 보딩 생활을 위해 부츠만큼은 다양한 사용기 탐독과 전문가들의 의견 경청이 필수라고 할 수 있겠다. 비교적 권장하는 자신의 부츠 스타일을 찾고 싶다면 『나에게 맞는 장비 세팅법』 메뉴를 통해서 어느 정도 확인이 가능하다.

 

④ 보드복 (Board Wear)
: 보드복은 상의와 하의로 구분되어 지는데 보드복 구입시 유의할 사항으로 방수성(Waterproof)과 투습성(Breathable)이 있다. 방수력의 단위는 'mmH2O'인데 일반적으로 'mm'으로 표기하고, 5,000mm 이상이면 보드복으로서의 제 기능을 한다고 보면 된다.(우산의 경우 보통 1,500mm ~ 2,000mm 방수력을 가진다.) 다만 초보의 경우 자주 앉거나 넘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10,000mm 이상을 추천한다. 투습성이란 땀이나 열로 일어난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뜻하는데, 투습력의 단위로는 'g/m2/24hrs'이며 'g'로 표기하고, 역시 5,000g 이상이면 일반적인 습기를 배출하는데 문제가 없다. 마찬가지로 땀이 많거나 활동량이 많은 경우 좀더 높은 투습력의 보드복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⑤ 보호장비 (Protective gear)
: 스노우보드를 즐김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장비가 바로 보호 장비이다. 입문자건 배테랑이건 보호장비 없이 스노우보드를 탄다는 건 무보험차로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장비로는 헬멧, 고글, 장갑, 엉덩이/무릎/손목 보호대 등이 있으며 이외에 하프파이프나(Half-pipe)나 빅에어(Big-air) 라이더를 위한 척추보호대, 전신 상의 보호대 등이 있다.


출처 : http://riderspark.com/rp_bbs/2146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cocy

조금은 가볍게! 시작은 새롭게!

,